교실 교육
피부과 전공의 수련 교과 내용
교육목표
피부질환을 진단하고 진료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수기를 익히고 피부과학과 관련된 기초의학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함으로써 피부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능숙한 피부과 의사의 양성에 목적이 있으며 아울러 피부과학의 발전과 전공의의 지도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하는 데 그 교육 목표를 둔다.
수련내용
전공의 1년차
- 가)지도전문의 지도하에 진료 내용
- 1)퇴원 환자 : 전문의의 지도 하에 5명 이상
- 2)외래 환자 : 전문의의 지도 하에 연인원 500명 이상
- 나)상급 전공의 지도 하에 진료 내용
- 1)외래환자의 진단, 검사 및 치료법의 습득
- a)상급자 지도 하에 처방전 발부 및 환자관찰 환자관찰(연인원 500명 이상)
- b)검사 – 첩포 및 광첩포시험, 광검사, 알레르겐 피내소파검사, 세균, 진균 및 피부기생충 피부기생충 검사, 진균배양 및 판독, Wood등 검사, 피부생검
- c)치료 – 병변 내 주입요법, DPCP therapy, 단순처치 및 피부과처치, 전기 소작술, 냉동요법, 여드름 적출술
- 2)퇴원환자 병록지 기록
- 3)외래환자 병록지 기록
- 1)외래환자의 진단, 검사 및 치료법의 습득
전공의 2년차
- 가) 지도전문의 지도하에 진료 내용
- 1) 퇴원 환자 : 전문의의 지도 하에 5명 이상
- 2) 외래 환자 : 전문의의 지도 하에 연인원 500명 이상
- 나) 상급 전공의 지도 하에 진료 내용
- 1) 외래환자의 진단, 검사 및 치료법의 습득
- a) 상급자 지도 하에 처방전 발부 및 환자관찰 환자관찰(연인원 1,500명 이상)
- b) 검사
– 첩포 및 광첩포 시험(20건 이상), 광검사(10건 이상), 알레르겐 피내소파검사(10건 이상), 세균, 진균 및
피부기생충 검사(30건 이상), 진균배양 및 판독(50건 이상), Wood등 검사(10건 이상), 피부생검(20건 이상) - c) 치료
– 병변 내 주입요법, DPCP therapy, 단순처치 및 피부과처치, 전기 소작술, 냉동요법, 여드름 적출술, 절개배농,
광선치료, 조갑적출, 절개생검.
- 2) 입원환자 진료 및 병록지 기록(5건 이상)
- 1) 외래환자의 진단, 검사 및 치료법의 습득
- 다) 하급 전공의지도
전공의 3년차
- 가) 지도전문의 지도하에 진료 내용
- 1) 퇴원 환자 : 전문의의 지도 하에 5명 이상
- 2) 외래 환자 : 전문의의 지도 하에 연인원 500명 이상
- 나) 진료 내용
- 1) 외래환자의 진단, 검사 및 치료법의 습득
– 전기수술(30건 이상), 냉동요법(30건 이상), 광요법 및 레이저 치료(20건 이상), 피부박피술 및 기타수술(10건 이상), 피부과 영역의 특수치료를 위한 약물 및 국소도포제의 제조법 습득 - 2) 입원환자 진료
- 3) 외래환자 진료
- 4) 타과 자문(50건 이상)
- 1) 외래환자의 진단, 검사 및 치료법의 습득
- 다) 하급 전공의지도
전공의 4년차
- 가) 지도전문의 지도하에 진료 내용
- 1) 퇴원 환자 : 전문의의 지도 하에 5명 이상
- 2) 외래 환자 : 전문의의 지도 하에 연인원 500명 이상
- 나) 진료 내용
- 1) 외래환자의 진단, 검사 및 치료법의 습득
– 전기수술, 냉동요법, 광요법 및 레이저 치료, 피부박피술 및 기타수술, 피부과 영역의 특수치료를 위한 약물 및 국소도포제의 제조법 습득 - 2) 입원환자 진료(5건 이상)
- 3) 외래환자 초진진료(500건 이상)
- 4) 타과 자문(50건 이상)
- 1) 외래환자의 진단, 검사 및 치료법의 습득
- 다) 하급 전공의 지도
전공의들은 다음 학회를 반드시 참석하도록 한다
대한피부과학과 춘/추계학술대회 1회 이상 참석
대한피부과학회 서울지부회 월례 집담회 5회 이상 참석
대한피부연구학회 연 1회 이상 참석
초청강연회 연 2회 이상 참석
학습내용
피부조직학, 피부병리학, 피부미생물학, 피부생화학, 약리학 등 피부과학과 관련된 기초 지식 습득
교육내용 | 일시 | 시간 | 장소 | 연횟수 |
---|---|---|---|---|
피부조직학 | 매주 1회 | 08:00~09:00 | 각 병원 의국 | 50회 |
Dermatologic Grand Round | 매달 1회 | 15:30~20:00 | 각 병원 의국 | 10회 |
Journal 초독회 | 매주 2~3회 | 08:00~09:00 | 각 병원 의국 | 100~150회 |
교과서 초독회 | 매주 2~3회 | 08:00~09:00 | 각 병원 의국 | 100~150회 |
Journal review
Acta Cermato-Veneroelogy, Arch Dermatol, Br J Dermatol, Clinics in Dermatology, Int J Dermatol, J Am Acad Dermatol, 대한피부과학학회지
Text reading
Fitzpatrick’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– 9th edition 대한피부과학회 피부과학 교과서 – 7판
학생교육
일반목표
정상적인 피부와 병적인 피부의 상태를 이해하여 피부과 질환에 대한 일반의로서 필요로 하는 기본적인 지식, 각 질환의 개요, 예방 및 진단방법에 대해 필요한 이해력을 갖추도록 한다.
구체적 학습 행동목표
학생들은 환자를 직접 대하여 환자를 보는 기본적인 수기를 익히며, 실제로 환자를 처치하는 방법을 배우기 위하여 아래의 수기를 익혀야 한다.
- 1.원발진의 종류를 열거하고 각각의 특성을 비교 설명한다
- 2.속발진의 종류를 열거하고 각각의 특성을 비교 설명한다
- 3.피부 생검(Skin biopsy)의 목적 및 방법을 설명한다
- 4.첩포검사(Patch test)를 설명하고 그 진단적 의의를 이해한다
- 5.피부단자검사(Skin prick test)를 설명하고 그 진단적 의의를 이해한다
- 6.직접도말검사 및 배양검사를 설명하고 균을 증명한다
- 7.우드등 검사(Wood’s light test)를 설명하고 그 진단적 의의를 이해한다
- 8.Tzanck 검사를 설명하고 그 진단적 의의를 이해한다
- 9.아토피성 피부염의 정의, 악화요인 및 치료 지침을 이해한다
- 10.두드러기(urticaria)를 정의하고 급성과 만성으로 분류한다
- 11.건선(psoriasis)을 진단하고 유사질환과 감별한다
- 12.단순 포진(herpes simplex)고 대상 포진(herpes zoster)의 진단과 치료를 이해한다
- 13.매독 반응 검사의 종류와 판독 이에 따를 치료 방법을 이해한다
- 14.사마귀(wart)의 치료 방법을 이해한다
- 15.족저 사마귀(plantar wart)와 티눈(corn), 굳은살(callus)의 감별점을 이해한다
- 16.단독(erysipelas) 및 봉와직염(cellultis)의 진단과 치료를 이해한다
- 17.단독(erysipelas) 및 봉와직염(cellultis)의 진단과 치료를 이해한다
- 18.홍반(erythema)과 지반(purpura)을 감별한다
- 19.급,만성 습진(eczema)의 치료 방법을 이해한다
- 20.피부의 조직학적 구조를 이해한다
- 21.병변 내 스테로이드제 주사(intralesional steroid injection)의 적응증, 사용방법을 이해한다
- 22.항히스타민제(antihistamine)의 분류와 적응증을 이해한다
- 23.국소도포제의 종류 및 그 적응증을 이해한다
- 24.Behcet 증후군의 진단 기준을 이해한다
- 25.옴(scabies)의 병변에서 직접도말검사상 원인충을 증명한다
- 26.루푸스 환자에서 볼 수 있는 피부 병변을 이해한다
- 27.여드름(acne)의 발생 기전과 치료법을 이해한다
- 28.약진(drug eruption)의 진단과 치료를 이해한다
- 29.물리적 두드러기(physical urticaria)의 종류와 그 유발검사방법을 이해한다